[산업안전보건법] 지붕공사 안전조치 의무(선라이트 슬레이트 사고)

공장, 축사, 노후 주택의 지붕공사 현장에서는 매년 추락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나 대부분 영세한 소규모 업체에서 수행하고 있어 지붕공사 안전조치 이행이 어려운 현실입니다. 그럼에도 근로자의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서는 적절한 조치를 해야 합니다.

오늘은 지붕공사의 종류, 실제 사고사례 및 안전조치 의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지붕공사 종류

먼저 지붕 위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공사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지붕작업 종류 사고사례

석면 슬레이트 해체

과거 주택을 지을 때 석면 슬레이트로 지붕을 설치한 곳이 많았는데, 석면이 발암물질로 밝혀지면서 많은 곳에서 석면 슬레이트 해체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 때 지붕재인 석면 슬레이트를 해체하기 위한 작업도 지붕공사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석면조사 대상 및 석면해체제거 방법 알아보기 <

태양광 패널 설치

가정이나 공장에서 태양광 패널을 많이 설치하고 있습니다.

태양광 패널은 햇빛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주로 지붕 위에 설치하고 있으며,

이 때에도 작업자들이 지붕 상부에서 작업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선라이트 보수

주로 축사, 공장을 지을 때 내부에 햇빛이 들어올 수 있도록 지붕 일부를 투명판인 선라이트로 설치하고 있습니다.

선라이트는 부식이 잘 일어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보수 작업이 필요합니다.

마찬가지로 선라이트를 보수하고 교체하기 위해서는 지붕 위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그 외에도 건물 신축, 공장 지붕 개보수 등의 작업들도 지붕공사에 해당합니다.

2. 지붕공사 사고사례

그렇다면 실제 지붕공사를 하면서 일어나는 사고사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붕공사 사고사례 선라이트 추락 안전대

위 사진들은 고용노동부에 중대재해가 발생할 때마다 배포하는 ‘중대재해 사이렌’입니다.

2024년 6월 에어컨 실외기 설치 작업 중 선라이트(채광창) 파손으로 추락한 사고를 비롯하여,

2024년 8월에는 연달아 지붕 교체공사에서 근로자들이 추락하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지붕 교체 등의 공사는 공사비가 낮기 때문에 비용을 아끼기 위해서 안전조치를 소홀히 하다 보니 발생하는 사고가 대부분이었습니다.

> 지붕공사 사고사례 더 알아보기 <

3. 지붕공사 안전조치 의무

그렇다면 지붕공사를 할 때 지켜야 할 안전조치 의무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지붕공사 안전조치 안전대 안전난간 추락방호망

선라이트 위 덮개 설치

선라이트가 설치된 지붕에서 이루어지는 공사는 이동 중 선라이트를 밟아 추락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선라이트 위에 견고한 덮개를 설치해야 합니다.

부식된 선라이트는 강도가 매우 약하여 살짝만 밟아도 깨질 수 있기 때문 입니다.

지붕 단부 안전난간대 설치

지붕 단부에 굴러 떨어지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지붕 단부에는 안전난간대를 설치해야 합니다.

또한, 근로자들에게 안전대를 지급하여 작업 중에는 반드시 안전대를 안전난간에 걸고 작업해야 합니다.

> 안전난간 설치기준 및 구조 총정리 <

추락방지망 설치

만약 지붕에 안전난간대를 설치할 수 있다면 지붕 아래에 추락방호망을 설치하여 근로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자율점검표 작성

공사를 시작하기 전 사업주는 지붕의 형태, 구조 등을 사전에 파악하고 적절한 안전조치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이에 고용노동부에서는 사업장에서 확인해야 할 내용들을 담은 자율점검표를 배포하였으며, 체크리스트를 꼭 확인하여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 지붕 작업 시 자율점검표 다운로드 <

< 추천 게시글 >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