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건강진단은 모든 근로자에게 실시하는 건강검진과 달리 노출되는 유해인자에 따라 폐기능, 방사선 등을 실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특수건강진단을 실시하지 않았을 때 과태료가 부과되므로 특수건강진단 병원 정보를 확인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특수건강진단은 3단계로 분류되어 배치 전 검진, 배치 후 첫번째 검진 및 정기검진을 실시해야 하며 유해인자별로 실시주기가 상이하여 혼동될 수 있어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1. 특수건강진단 병원 리스트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고용노동부에서 지정하는 특수건강진단 병원은 전국에 총 283개가 있으며,
대학병원부터 개인병원까지 다양한 규모의 병원들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특수건강진단 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해서는 장비 및 지정인력이 필요한데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쉽게 갖출 수 있는 편입니다.
지역별 특수검진 병원 개소 및 리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서울
서울에는 총 53개의 기관이 있습니다.
종류로는 대학병원인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을 비롯하여 삼성의료재단, 대한산업보건협회, 연세대학교의료원 등이 있으며,
서울 전역에 거쳐서 다양한 규모의 병원들이 있어 특수건강검진을 받아야 하는 근로자 수에 따라 병원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서울 지역 특수건강진단 리스트는 아래에 첨부하였으니 다운받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2) 경기
경기도에는 총 71개의 기관이 있습니다.
경기 지역 외곽에는 우리나라 제조업들이 상당히 많이 위치하고 있고 종사하는 근로자들의 규모도 전국에서 가장 많습니다.
경기 지역 특수건강진단 리스트는 아래에 첨부하였으니 다운받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3) 대전
대전에는 총 8개의 기관이 있습니다.
대학병원은 건양대학교병원이 있고 근로복지공단 및 대한산업보건협회 세종지역본부 등이 특수건강진단 병원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대전 지역 특수건강진단 리스트는 아래에 첨부하였으니 다운받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4) 대구
대구에는 총 13개의 기관이 있습니다.
대구에는 대기업은 거의 없지만 중견 및 중소규모의 제조업 공장들과 오래된 염색공장들이 즐비해있습니다.
대구 지역 특수건강진단 리스트는 아래에 첨부하였으니 다운받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5) 부산
부산에는 총 19개의 기관이 있습니다.
부산에는 중공업, 항만, 제조 등 다양한 산업군이 위치한 지역이라 볼 수있습니다.
대구 지역 특수건강진단 리스트는 아래에 첨부하였으니 다운받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6) 그 외 지역
위에서 언급한 지역 외에 특수검진 병원 정보가 궁금하신 분들께서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특수건강진단 실시주기
앞서 말씀드린 대로 특수건강진단은 노출되는 유해인자에 따라 실시주기가 상이하며,
크게 아래와 같이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배치 전 검진
특수건강검진 대상 유해인자가 노출되는 작업장에 근로자를 배치하기 전에는 해당 근로자가 작업장에서 근무할 수 있는 건강상태인지 확인하기 위해 배치 전 검진을 실시해야 합니다.
배치 전 검진을 통해 근로자의 건강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만 작업장에 배치할 수 있습니다.
(2) 배치 후 검진
배치 전 검진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실제로 유해인자에 노출되어 작업을 하면서 건강상태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근무에 투입된 시점부터 1~12개월 이내에 배치 후 첫번째 검진을 실시하여 이상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유해인자별 배치 후 첫번째 검진은 실시주기는 아래 게시글을 통해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정기검진
배치 전, 후 검진실시 결과 근로자의 건강에 이상이 없다면 이후에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특수건강진단을 실시해주면 됩니다.
만약, 장기간 근무한 근로자에게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한다면 작업장소 변경, 작업시간 단축, 유해인자 노출 차단 등의 조치를 해주어야 합니다.
특수건강진단 유해인자별 정기검진 주기는 아래 게시글을 통해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추천 게시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