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시공능력순위 평가방법, 아파트 브랜드 평판 조회

최근 2023년 시공능력순위 발표가 있었습니다. 매년 7월 말에 발표되는 시공능력평가순위는 지난 1년간 건설업체의 공사실적, 기술능력, 신인도를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입니다.

1. 시공능력순위 평가기준

종합건설업 면허를 가진 건설업체의 시공능력평가는 아래의 산식에 따라 정량적으로 평가합니다. 해당 규정은 건설산업기본법 시행규칙 [별표1] 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시공능력평가액 = 공사실적평가액 + 경영평가액 + 기술능력평가액 ± 신인도평가액

1.1. 공사실적평가액

시공능력순위 공사실적평가액 산정방법

공사실적평가액은 위 사진의 산식에 따라 산정한 최근 3년 간의 해당 업종의 건설공사실적의 연차별 가중평균액의 100분의 70으로 합니다.

최근 3년간의 해당업종의 건설공사실적의 연차별 가중평균액 = [(평가년도 이전 1차년도 공사실적액×1.2)+(평가년도 이전 2차년도 공사실적액×1)+(평가년도 이전 3차년도 공사실적액×0.8)] ÷ 3

평가일 기준 직전년도의 공사실적액이 가중치가 가장 높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보입니다.

1.2. 경영평가액

경영평가액 산정방법

경영평가액 = 실질자본금 × 경영평점 × 80/100

실질자본금은 총 자산에서 총 부채를 뺀 금액이며,

경영평점은 재무제표를 기초로 하여 차입금의존도평점, 이자보상비율평점, 자기자본비율평점, 매출액순이익률평점, 총자본회전율평점을 토대로 계산하게 됩니다.

1.3. 기술능력평가액

기술능력평가액 산정방법

기술능력평가액 = 기술능력생산액(전년도 동종 업계의 기술인 1인당 평균생산액×건설사업자가 보유한 기술자 수×30/100) + (퇴직공제납입금×10) + 최근 3년 간의 기술개발투자액

1.4. 신인도평가액

신인도평가액은 총 14가지의 평가기준을 합산한 점수로서 신기술의 지정을 받은 경우, 영업정지처분 및 과징금 처분 여부, 평균재해율, 최근 3년 이내 부도여부, 상습체불건설업자 여부 등의 평가기준에 따라 산정하게 됩니다.

종합건설업체의 시공능력 평가방법 세부기준에 대해서는 아래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종합건설업체 시공능력 평가방법 다운로드

2. 2023년 시공능력순위

그렇다면 2023년 시공능력순위 발표결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시공능력순위

10대 건설사 위주로 한번 확인을 해보면, 삼성물산이 부동의 1위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그 뒤로 현대건설,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지에스건설, 디엘이앤씨, 포스코이앤씨, 롯데건설, 에스케이에코플랜트, 호반건설 순입니다.

2022년 3위였던 디엘이앤씨는 3계단 하락하였으며, 2022년 6위였던 대우건설은 3계단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2023년 시공능력순위 엑셀자료는 아래에 첨부하였으니 다운받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 시공능력순위 엑셀 다운로드

2022년 시공능력순위 엑셀 다운로드

3. 아파트 브랜드 순위

다음은 시공능력순위와는 별개로 매월 발표되는 아파트 브랜드 순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파트 브랜드 평판순위

아파트 브랜드를 비롯한 각종 기업, 가수, 연예인, 프랜차이즈 등의 브랜드평판을 조회할 수 있는 ‘한국기업평판연구소 브랜드평판지수’ 사이트를 통해 조회하였습니다.

브랜드평판지수 사이트 바로가기

아파트 브랜드 평판순위 결과

2023년 8월을 기준으로 조회한 아파트 브랜드 평판지수입니다.

1위는 힐스테이트, 2위는 푸르지오, 3위는 E편한세상이 각각 차지했습니다.

평가방법은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브랜드평판지수 등 5가지 항목을 빅데이터를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매월마다 순위가 조금씩 바뀌므로 아파트에 관심있는 분들께서는 주기적으로 확인해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 추천 게시글 >

중대재해처벌법 산업안전보건법 차이점 알아보기

직장내 괴롭힘 처벌규정, 신고방법 알아보기

Leave a Comment